병기결정법(How to assign summary staging)
다음 4가지 기초적인 질문에 대한 답이 요약병기에서 정확한 코드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어디서 암이 시작되었는가?
어떤 장기 혹은 조직에서 종양이 기원했는가? 장기의 특정 하부 부위가 있는가? ‘원발부위’ 에 대한 정보는 진찰, 영상의학 보고서, 수술 기록지, 병리보고서에서 나타난다. 원발부위 코딩은 ICD-O-3의 규칙을 따른다. 이 코드는 병기를 코딩하는 과정에도 사용된다.
어디로 암이 전이되고 있는가?
일단 원발부위을 알게 되면 다른 기관이나 구조에 전이가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진찰자료, 영상의학보고서, 수술기록지, 병리보고서, 각종 검사보고서를 검토하여 전이된 기관이나 구조물을 확인한다. 이러한 보고서들에서의 작은 정보들이 병기를 바꾸게 될 수도 있다. 어디에서 림프절 침윤, 혈관침윤이나 전이가 있는지 무슨 기관에 전이가 되었는지, 암종이 한 개의 병소인지 몇 개의 병소가 있는지를 잘 살펴본다.
주변 장기와 구조의 명칭뿐 아니라 원발부위 내의 하부구조의 명칭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암이 침범되었다고 하는 조직들의 이름도 잘 메모해 놓아야 한다. 조직에 종양의 침범이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열거된 조직목록을 참고한다.
어떻게 암이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퍼졌는가?
암세포가 원발부위로부터 끊어짐 없이 연결되어 새로운 부위로 퍼졌는가? 병리의사가 한 장기에서 다른 장기로 전이된 암세포의 경로를 확인한다면 병기는 direct extension에 의한 regional 혹은 direct extension에 의한 distant일 것이다. 암이 원발부위로부터 떨어져 나가 혈액이나 체액 속에서 떠다님으로써 퍼졌는가? 만약 원발장기와 새로운 부위 사이에 종양 세포의 직접적인 흔적이 없다면, 병기는 아마 distant일 것이다(난소 제외).
병기와 정확한 코드는 무엇인가?
- SEER Summary Staging Manual 2000을 펴서 이미 증명된 ICD-O-3 원발 부위/조직학적 코드를 포함한 병기 도표를 본다.
- 종양이 침범되었다고 기록된 장기와 구조의 이름을 살펴보기 위해 병기 도표를 검토한다. 만약 하나 이상의 구조와 장기가 침범되었다면, 침범된 구조가 포함된 가장 높은 범주를 선택한다.
- <예>
- 모든 보고가 암의 파급에 대해 음성이고, 병리의사가 암이 noninvasive 혹은 non-infiltrating이라고 언급했다면,
병기 코드는 0, in situ 이다. - 모든 결과가 암의 파급에 대해 음성이고, 병리의사가 암이 invasive 혹은 infiltrating 이라고 언급했다면,
병기 코드는 1, localized 이다. - 만약 다른 장기나 구조가 종양에 의해 침범되었다면, 침범된 구조와 관련된 가장 높은 코드를 선택한다.
- 모든 보고가 암의 파급에 대해 음성이고, 병리의사가 암이 noninvasive 혹은 non-infiltrating이라고 언급했다면,
- <예>